※ 3DS, WiiU에서 닌텐도 E숍이 종료됨에 따라 현재는 이 방법이 불가능합니다.

그냥 E숍 종료 직전에는 이런 방법도 통했구나 하면서 재미로만 봐 주세요!

 

 

올해 초부터 닌텐도는 3DS/WiiU 이숍 종료 절차를 밟고 있으며 2023년 3월에 완전히 종료할 예정이라 합니다.

 

다른 건 별로 신경안써도 되겠지만 포켓몬을 하는 저에겐 이전 세대에서 상위 세대로 올려보내는 '포켓무버'라는 앱이 꼭 필요한데요. 문제는 이 '포켓무버'를 설치하려면 반드시 포켓몬 뱅크를 설치한 후 이용권(유료)을 구매해야한다는 것입니다.

 

※ 최근 카카오페이를 통해 국내 이숍에 잔액을 추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북미쪽은 더 이상 국내에서 발급한 Visa 카드, Mastercard, 이를 연동한 Paypal로는 잔액을 추가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국내 발급 카드로는 일본이나 홍콩 이숍 등 일부 지역에만 한정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만 그 지역에서 발급한 카드나 해당 지역의 Nintendo Switch 이숍 기프트카드로는 충전이 가능함을 미리 알립니다.

 

문제는 잔액이 없다면 이용권 자체를 구매할 수 없는데 닌텐도가 2022년 8월 30일부터 3DS/WiiU 이숍 기프트카드 판매를 중단했기에 잔액을 추가할 수단이 사실상 없어졌다는 것이죠.

 

하지만 해외판 3DS/WiiU 기기를 가지고 있으며 그와 동일한 국가닌텐도 어카운트를 등록한 Ninetendo Switch(이하 '스위치'라 칭함)가 있다면 아주 방법이 없지는 않습니다.

 

그 방법에 대해 제가 가지고 있는 3DS(이하 '삼다수'라 칭함)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준비물

해외판 3DS와 그 국가코드에 맞는 닌텐도 어카운트, 와이파이가 되는 장소 혹은 와이파이 공유기, 인터넷이 되는 컴퓨터, 닌텐도 스위치


 

삼다수를 가지고 있는 플레이어들이라면 익숙할 그 화면입니다.

다만 해외판에는 국내판에서 잘린 Miiverse나 Nintendo zone 등 더 많은 앱들이 있죠.

 

이 메인 화면에서 스패너 아이콘을 터치하여 본체 설정/본체 세팅에 들어갑니다.

 

 

설정에 들어오면 역시나 국내판에는 없는 '텐도 트워크 ID(NNID) 설정' 버튼이 있을텐데요. 이걸 선택해줍니다.

 

 

여기서 NNID를 가지고 있다면 바로 '있는 ID로 연결'을 선택하여 로그인해주세요.

저같이 해외 3DS를 칩으로만 즐겼다면 '신규 ID작성'을 선택해주세요.

 

 

뭐가 많은 것 같은데 파란 글씨를 보면서 빈칸을 찬찬히 채우다보면 외국어로 써져있어도 잘 작성할 수 있을거에요.

모든 항목을 채웠다면 제일 밑으로 스크롤해서 '확정' 버튼을 눌러줍니다.

 

 

여기서 실수로 '제한한다'를 선택하더라도 3DS 설정에서 다시 바꿀 수 있으니 너무 걱정은 하지 마십쇼.

 

 

아까 빈칸들 채울 때 이메일 주소 적어놓은거 있죠?

그 이메일에 들어가 받은편지함을 확인하면 닌텐도에서 온 메일이 있을겁니다.

 

 

그 메일에서 파란색으로 칠해진 링크에 들어가서 NNID 등록(회원가입)을 완료해주세요.

 

 

이제 PC를 사용할 차례입니다.

일본 닌텐도 혹은 북미 닌텐도 등 자신이 가입한 NNID와 3DS 국가코드에 맞는 국가의 닌텐도 홈페이지로 들어가주세요.

여기서 제일 우측 버튼을 눌러 닌텐도 어카운트를 로그인해주세요.

만약 이미 로그인 된 상태라면 위처럼 Mii의 모습이 보일텐데 그걸 클릭해주세요.

 

 

 

다음으로 '어카운트 설정(세팅)'을 선택합니다.

 

 

어카운트 설정창에 들어왔으면 '유저 정보 편집' 탭에 '다른 어카운트와 연동'이 있어요.

거기서 '닌텐도 네트워크 ID' 쪽을 보면 당연히 연동이 되어있지 않았을텐데 바로 위에 있는 '변경'을 눌러줍니다. 

 

 

이제 빨간색 부분(닌텐도 네트워크 ID)을 선택하여 닌텐도 네트워크 창으로 넘어갑니다.

다만 3DS에서 '다른 기기에서의 닌텐도 네트워크 ID를 제한한다'를 선택했다면 이를 언급하면서 다음으로 넘어가지 않습니다.

 

 

닌텐도 네트워크 창을 성공적으로 띄웠다면 아까 만들었던 NNID를 입력하여 로그인합니다.

그러면 무슨무슨 번호를 입력하라할텐데..

 

 

전의 그 메일을 확인하여

 

이 확인 코드를 그대로 입력한 뒤 밑에 있는 확인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그러면 닌텐도 어카운트와 NNID의 연동이 끝납니다.

 

본래는 PC에서 '숍 메뉴'를 통해 잔액 추가가 가능하지만 어째서인지 오류가 뜨더군요.

별 수 없죠. 플랜 B로 닌텐도 스위치에서 잔액을 추가하기로 합시다.

 

 

이제 스위치를 켠 뒤, 닌텐도 e숍을 선택하여 닌텐도 어카운트와 연동된 유저로 들어갑니다.

 

 

이숍에 들어왔으면 다른 건 다 무시하고 유저 아이콘을 터치해주세요.

 

 

삼다수/위유 이숍 서비스 종료에 대응하여 닌텐도는 삼다수/위유의 잔액을 스위치 잔액과 합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아깝게 남은 전세대 기기들의 잔액을 스위치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지요.

 

우리는 이걸 역으로 이용하여 스위치 잔액과 삼다수/위유 잔액을 통합하여 거기에서도 사용하는겁니다.

먼저 스위치 이숍 설정화면에서 '닌텐도 3DS/WiiU의 잔액 정리 · 병합'을 터치합시다.

 

 

그리고 우리는 포켓몬뱅크 이용권을 구입하는 것이 목표이기에 최소금액을 선택합니다.

다만 일본판은 포켓몬스터 블랙2/화이트2 칩을 가지고 있는 경 1000엔을 충전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해외 크레딧 카드나 페이팔을 이용하여 닌텐도 어카운트에 잔액을 추가했다면 스위치는 끄고 다시 삼다수를 켭시다.

 

 

삼다수에 기본적으로 내장된 닌텐도 E숍 앱을 기동합니다.

 

 

삼다수에 NNID가 연동되었다면 NNID 확인 후 바로 이숍 화면으로 들어와집니다.

이것도 NNID가 없는 국내판에선 볼 수 없는 것들이기도 하죠.

 

삼다수 상단부 화면을 보면 아까 스위치에서 추가했던 잔액이 있습니다.

이제 검색창에 각 국가의 문자로 된 '포켓몬'을 입력해줍니다.

 

 

포켓몬 뱅크는 삼다수 초창기에 발매되었으므로 '정렬 바꾸기'로 오래된 순으로 바꿔서 찾거나 바를 오른쪽 끝으로 

당겨 '다음'을 눌러서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는 것을 반복하여 '포켓몬 뱅크'를 찾습니다.

 

 

포켓몬 뱅크 앱 자체는 무료이니 일단 다운부터 받읍시다.

당연히 삼다수에 SD카드를 넣든가 해서 다운받은 앱이 있을 공간은 있어야겠죠?

 

북미 E숍의 경우 앱을 구매하려면 Zip 코드를 입력하라고 할텐데요. 이것은 지역번호(주소)를 뜻합니다.

괜히 앱 가격에 세금이 붙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19720(델라웨어-DELAWARE)를 입력해줍니다.

밑에 있는 칸에는 New Castle(New Castle)과 DEL을 선택하면 됩니다.

 

 

다운이 다 됐다면 HOME 버튼으로 삼다수 메인화면으로 나와 삼다수에 6·7세대 포켓몬 앱을 DL로 다운받아 내장했거나 칩을 꽂은 상태에서 포켓몬 뱅크 앱을 실행합니다.

 

 

재인이 나타나 포켓몬뱅크에 대해 이것저것 알려주는데 A키 연타로 스킵하면 이용권을 구매하라고 합니다.

이용권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포켓몬뱅크를 사용할 수 없을뿐더러 포켓무버도 다운받을 수 없어요.

 

보통 유저들 대부분은 여기서 막히겠지만 우리는 아까 닌텐도 어카운트와 연동했기에 스위치에서 추가했던 금액이 있죠.

5달러/500엔을 지불하여 이용권을 구매한 뒤, 다시 포켓몬 뱅크를 기동합시다.

다만 6·7세대 포켓몬 소프트가 삼다수에 연동되지 않았다면 뱅크에 연동되는 포켓몬이 없다면서 메인화면으로 되돌아가버려요.

 

위 사진처럼 메인 화면에 들어섰다면 바로 '포켓무버/포키 트랜스포터 다운로드'를 선택해주세요.

 

 

포켓무버(북미는 '포키 트랜스포터')는 이용권이 있다면 무료로 다운가능하며 설사 이용권이 다 되어도 삭제될 일은 없으니까 걱정마십쇼.

포켓몬스터 버츄얼콘솔 1·2세대가 설치되어있거나 5세대 칩을 꽂은 상태라면 포켓무버를 이용하여 구세대 포켓몬들을 6세대 이상으로 올려보낼 수 있습니다.

 

 

전에 충전했던 10달러에서 포켓몬뱅크 이용권을 쓰고 남은 금액으로 '포커먼(포켓몬) 드림 레이더'를 구매할 수 있어요.

일본 삼다수에선 아까 스위치에서 1000엔을 충전했다는 가정 하에 '포케토몬(포켓몬) AR 서처'를 구매할 잔돈이 남구요.

(포켓몬 AR 서처 = 포켓몬 드림 레이더)

 

만약 블랙 2/화이트 2칩을 소유하고 있다면 이 앱을 구매한 뒤 플레이하여 숨겨진 특성(5세대 당시에는 '드림 특성')을 가진 포켓몬들을 잡아 블랙 2/화이트 2로 보냅시다.

 

이상으로 삼다수에 잔액을 추가하여 포켓몬 뱅크와 포켓무버, 덤으로 포켓몬 AR 서처를 구매하는 방법을 설명했는데요.

이를 이용하면 3DS에서 공유된 잔액으로 DL이나 버추얼 콘솔같은 다른 소프트들을 구매할수도 있고,닌텐도 어카운트와 잔액이 공유된 NNID를 등록한 WiiU에서 아직 종료되지 않은 WiiU의 이숍에 들어가서 WiiU만의 소프트(젤다의 전설 바람의 지휘봉 HD, 젤다의 전설 황혼의 공주 HD,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X, 태고의 달인 WiiU버전 등)들을 구매하는것도 가능할것입니다.

 

긴 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